반응형

주식 5

[뉴스케일파워 / SMR] 반도체? AI? 그래서 그 다음은 바로 이 것!

안녕하세요 소시민입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미국 주식, 기업 소개 영상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늘 소개할 종목이 무엇이냐? 바로 뉴스케일파워, 티커명 SMR이 바로 그 것입니다. 세계 시장의 흐름에서 반드시 알아야한다고 말하고 싶은 주식인데요. 저도 첨병을 좀 보내놓은 상태이고, 상황을 지켜보면서 얼마나 자금을 투입해볼 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모두들 한 번 뉴스케일파워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러 가시죠! 뉴스케일파워(Ticker: SMR) 너 뭔데?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 Corp) 첨단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기술 회사로 회사의 VOYGR SMR 발전소는 NuScale Power Module로 구동된다. 이 모듈은 각각 77메가와트(MWe)의 전기 또는 250메가와트(총)의 열..

Invest 2024.04.16

[팔란티어 / PLTR] 빅데이터, 보안 관련 업계 1위 팔란티어

제가 요즘 살펴보고 있는 두번째 종목 팔란티어(PLTR)입니다. 해외주식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팔란티어를 분명히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은 분들이 계시다면 팔란티어가 어떤 기업인지, 어떤 강점이 있는지를 같이 확인해보시죠. 팔란티어 너네 뭐하는 회산데? 팔란티어는 공공 정보 분석을 수행하는 미국의 빅데이터 프로세싱 기업 특히 CIA, FBI, NSA, 국방부 등 미국 정부 기관과 우방국 정보기관들을 주요 고객으로 두는 군과 정보기관에 특화된 데이터 분석 솔루션 기업입니다. 이렇게 군과 관련된 솔루션 기업이라고 하면 이 기업이 어떤 일을 했는지 감이 잘 오지 않을텐데요. 세상에서 가장 은밀하고 수상한 기업으로 불리는 팔란티어가 걸어온 길에 대해서 간단하게 나열해보겠습니다. ① 2011년 5..

Invest 2023.12.07

[아이온큐 / IONQ] 차세대 주도주의 가능성을 지닌 양자컴퓨팅 1등

오늘은 투자 관련 정보로 돌아왔습니다. 저는 매년도 12월을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리밸런싱하는 달로 정해 운용하고 있습니다. 미국주식은 1년에 250만원까지 세금없이 실현가능하기 때문에, 250만원까지 수익을 실현하고 실현한 수익을 기존 주식에 재투자하거나 새로운 주식으로 투자방향을 돌리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에너지(정유 관련) 주식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고, 이 수익금 중 일부를 실현하여 에너지의 비중을 줄이고 차세대를 이끌어나갈 게임체인저로 미리 투자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차세대 주도주의 가능성이 있는 주식으로 아이온큐(티커명 : IONQ)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IONQ가 어떤 주식인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함께 확인해보시죠 양자컴퓨터? 그게 뭔데? 양자컴퓨팅은 무엇이냐?..

Invest 2023.12.06

[대가의 포트폴리오] 워렌버핏, 레이달리오, 마이클버리 ETC...

오늘은 대가들의 포트폴리오를 가져와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며칠전 SEC 13F로 대가들의 포트폴리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3F는 간단하게 투자회사의 보유종목 공시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우리는 이를 통해서 대가들이 어떤 종목에 투자를 하는지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고, 그들의 투자 방향을 참고하여 우리의 방향과 일치하는지 올바르게 파악했는지를 점검할 수 있습니다. 이런저런 말 다 넣어두고 일단 먼저 공유하겠습니다. 이 표는 제가 매 분기별로 엑셀에 정리하는 대가들의 포트폴리오입니다. 당연히 모든 종목이 기재되어있지는 않습니다. 저는 1%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종목을 위주로 정리합니다. 물론 1%이상이어도 모든 것을 기재할 수 없기에 과감하게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이 경우에는 아예 모르는 주식이거나, 알고 싶..

Invest 2023.11.16

[투자 기록] 들어가는 글

2020년 11월부터 투자를 시작한지 어언 4년째, 소시민이자 개미의 투자에 대해서 기록하고 공유하고자 합니다. 우선, 맨처음 투자를 시작할 당시에는 국장과 미장 이런 것들에 대해서 정확히 구분짓지 않고 무작정 투자를 하던 시기였습니다. 처음에는 접근이 쉬운 카카오, 삼성전자, 현대차 등으로 투자를 시작하였으나 수익이 아닌 손실을 보고 나왔습니다. 아무런 정보 취득 없이 무작정 투자를 한 것에 대한 값진 배움이라 생각하고 이 경험 이후로 공부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주변의 투자를 전문으로 하시는 분들과는 당연히 제 접근법이 다릅니다. 저는 트레이더나 헤지펀드매니저와 같은 전문가들도 아니고 그들보다 빠르게 정보를 취득할 자신이 없습니다. 제가 뉴스를 보거나 공시를 보고 투자를 하면 그 건 이미 반영이 끝난 ..

Invest 2023.11.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