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시민입니다.
티스토리를 운영하면서 처음 말하는 내용인 것 같은데요. 저는 국가공기업에 일반행정으로 채용되어 3년간 일하다가, 공기업의 한계와 업무 환경이 저와 맞지 않음을 깨닫고 작년에 퇴사를 했습니다.
그리고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부 후에 올해인 2024년 1월 2일부터 전혀 새로운 직무 분야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좌충우돌 업무기를 공유하고 저와 마찬가지로 처음 소방안전관리자로 일하시는 분들과 교류하고 싶어서 새로운 주제의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아, 그리고 소방안전관리자를 한 이유는 사실 1급 시설물에서 3년의 경력(특급은 2년, 2급은 5년)의 경력을 쌓으면
소방시설관리사라는 자격증을 시험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데요. 요걸 따고 나면 삶이 꽤나 괜찮아진다고 보여 저는 소방안전관리자를 선택했습니다. (소방시설관리사가 무엇인지, 연봉이 얼마인지는 찾아보면 쉽게 검색할 수 있는데요. 업무의 성격과 연봉의 수준을 본다면... 매우 괜찮은 직업이라고 보이기 때문에 여러분도 이런 직업이 있다라는 것을 한 번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소방안전은 날이 갈 수록 중요해질 겁니다. 점점 건축물이 고층화되면서 사고가 일어나면 사고의 피해가 커지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이 업계의 미래는 밝다고 보입니다.
소방안전관리자
①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의 종류와 자격 취득
소방안전관리자 제도는 1958년 3월 11일 소방법의 제정 때부터 시행되었는데요, 일정 규모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 화재안전에 대한 책임자를 지정하여 소방안전관리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제도이며, 현재 한국소방안전원이라는 곳에서 발급하는 소방청 공인 국가전문자격입니다.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의 분류로는 특급, 1급, 2급, 3급이 있습니다.
각 자격증마다 취득의 요건이 다른데요, 아래의 표는 한국소방안전원의 자격 발급 안내라는 페이지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구 분 | 관련 근거 | 대상 |
특급 소방안전 관리자 |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0조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0조 |
① 소방기술사 또는 소방시설관리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② 소방설비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5년 이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③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7년 이상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근무한 실무경력이 있는 사람 ④ 소방공무원으로 20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1급 소방안전 관리자 |
①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②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
2급 소방안전 관리자 |
① 위험물기능장ㆍ위험물산업기사 또는 위험물기능사 자격이 있는 사람 ② 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
3급 소방안전 관리자 |
① 소방공무원으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 |
기간한정 소방안전 관리자 |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30조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부칙 제7조 및 제9조 |
① 「기업활동 규제완화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 ②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2022.12.1.) 당시 종전 법령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적법하게 선임된 사람 중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선임자격을 갖추지 못한 사람 |
위험물 안전관리자 |
위험물안전관리법 제28조 3항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제78조 2항 |
① 소방공무원으로 3년이상 근무한 경력이있는 자 |
위험물 운송자 |
위험물안전관리법 제28조 3항 위험물안전관리법시행규칙 제78조 2항 |
① 위험물안전관리 교육수료증 (위험물안전관리자 자격 발급일이 2004.09.30 이전 발급자) |
위의 내용은 경력이 있는 대상이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증을 별도의 시험없이 받을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즉, 오른쪽의 대상 부분이 해당 자격증의 시험보다 높은 요건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겁니다.
그러면, 이런 사람 말고는 어떻게 자격증을 얻는데?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진행하는 시험에 합격하면 되는데요, 이 시험을 치룰 수 있는 요건이 또 정해져 있습니다. 위의 표와 같이 관련 시설물에서의 경력이 필요로합니다.
그런데!!!! 경력이 없는 일반인이 취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진행하는 강습교육을 수료하면됩니다.
만약에 특급 교육을 수료하면 특급~3급까지의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1급을 보면 1~3급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시험에 합격하면 해당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시험의 난이도는 급수마다 다르겠지만,,,, 특급은 생각보다 많이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특정소방대상물 중에 특급은 정말로 고층 건물이고 사고나 나면 아주 큰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보니, 이런 건축물의 소방안전관리자로 일하기 위해서는 정말로 공부를 많이하고 잘 알고 있어야하기 때문이 아닐지 생각이 듭니다.
저는 특급 교육을 수료하고, 특급 시험을 봤는데 특급 1차시험(필기)에서부터 대차게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곧바로 1급 시험을 신청하여 자격을 취득했는데요.
특급과 1급의 차이는 어마어마한 차이가 납니다. 특급 강습(하루 9시간, 한 달 교육)을 들으며 하루에 3시간 정도 복습 시간을 갖고, 강습이 끝나고 약 1~2달 정도를 하루 10시간이상 공부를 하고 시험을 봤음에도 특급 1차 시험에 떨어졌습니다. 제가 관련 분야에 아예 문외한이었기 때문에 그런 점도 있겠지만, 비전공자가 특급을 단시간에 취득하기에는 매우 높은 집중력으로 많은 시간 공부를 할애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특급을 떨어지자마자 별다른 공부없이 마음 편히 1급 시험을 보았는데, 바로 붙어버렸습니다... 그만큼 특급과 1급의 난이도 차이는 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을 취득한다고해서 취업이 바로 되는 것도 아니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운 좋게 붙을 수 구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다음에 한달이내에 합격할 수 있었지만, 직무의 특성상 소방업무만 보는 것이 아닌 전기나 기계 등의 전반적인 시설의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며, 이럴 경우에는 소방안전관리자 자격과 더불어서 전기나 공조, 기타 시설 관련된 경력이나 경험을 중요하게 여기시는 것 같습니다.
또한, 아파트나 빌딩 같은 곳의 소방안전, 시설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나이대가 젊은 사람보다는 약간 있으신 경우를 선호하시더라구요. 아무래도 민원이 많기 때문에 젊은 나이를 선호하지 않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오늘은 자격의 정보와 취득에 관련된 내용을 얘기해봤는데요. 혹시 해당 자격증과 업무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저에게 따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좀 더 자세하게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실제 업무가 어떤지에 대해서 얘기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오늘은 이만... 모두들 소시민이 아닌 부자가 되시기를 바라면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안전관리자] 처벌, 벌금, 과태료, 실형 등에 대한 처벌규정을 알아보자! (0) | 2024.02.10 |
---|---|
[소방안전관리자] 방화구획 방화셔터 피난통로 적치물을 반드시 치우자 (0) | 2024.02.05 |
[소방안전관리자] 다중이용업소에 대해 알아보자 (3) | 2024.02.02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계획서 작성 2편(건축물 일반, 세부현황) (1) | 2024.01.26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계획서 작성 (2) | 2024.01.22 |